본문 바로가기

경계

[정호진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서]〈21〉대안적 시도 작가를 소모품 취급하는 시장 주류들에 대한 ‘소박한 항거’ 딘스타크 아벤트(Dienstag Abend) ‘딘스타크 아벤트(Dienstag Abend)’. 이름 그대로 화요일 저녁 하루 만에 시작되고 끝이 나는 독특한 형태의 전시라고 했다. 빈에 위치한 Ve.Sch(베쉬)라는 대안공간에서 작년부터 화요일마다 꾸준히 진행되어 오고 있는 행사다. 몇 달 전 참여 의사를 묻는 연락을 받고 바쁘다는 핑계로 미뤘다가 결국엔 호기심을 이기지 못해 수락한 터였다. 전시장의 규모가 크든 그렇지 않든 2∼3일의 짧은 준비 기간 만에 순발력 있게 장소특정적인 작품을 해냈다가 거둬야 한다는 게 부담스럽기도 했지만 매력적인 시도로 생각이 됐다. 베쉬의 운영자금 중 일부를 마련해주는 바. 나머지는 베쉬에 전시됐던 작품들. ves.. 더보기
[정호진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서] <20> 열린 미술관, 닫힌 소통 작품이 관람객에 다가갈 수 있게 ‘올가미’를 풀어주시라 바다 건너서 찾은 대구미술관, 작품 주변 둘러싼 펜스에 당황… 설명문엔 ‘참여 통한 의미 완성’ 이해 못하는 사람들 무시하고 순번을 매겨 끊어 내려 한다면 미술은 혼자 남게 될지도 몰라 한국에 우후죽순으로 미술관이 들어섰다는 소식을 바다 건너 이탈리아에서 듣고 한국에 들어오는 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터였다. 기회가 닿자마자 서둘러 흥미를 끄는 미술관 목록을 만들었다. 제일 먼저 찾은 곳은 대구미술관이었다. 대구미술관은 건립 논의 후 개관까지 14년이 걸렸다. 미술관에 들어서자마자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단연 1층의 중앙에 위치한 거대한 공간, 어미홀이다. ‘품어내고 생성하는 장소, 자연의 모체를 뜻하며 어미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의미’로 명명되.. 더보기
<디자인포럼>디자인, 더 이상 예술계 변방 아니다...하찮았던 의자도 최고 예술로 회화와 조각 등 전통적인 예술품만 다뤄온 국내 화랑가. 몇년 전 부터 의미있는 변화가 생겼다. 현대미술품을 전시해 온 국제갤러리는 2005년부터 거의 매년 가구 전시회를 연다. 예술가구를 주도한 샤를로트 페리앙, 장 프루베, 조지 나카시마, 세르주 무이 등을 소개했다. 처음 열 당시에는 파격 그 자체였다. 마치 거실이 갤러리로 옮겨온 듯, 의자와 탁자 등 가구가 현대미술과 아름답게 조화를 이뤄 호평을 받았다. 미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허문 예술가라는 평을 듣는 일본 디자이너 요시오카 도쿠진. 에르메스와 스와로브스키와 같은 세계적 명품브랜드와 협업해 온 그는 종종 독특한 디자인의 의자를 만들어 왔다. 지난해 국내 비욘드 뮤지엄에 첫 전시회를 열고, 그의 ’의자’들을 국내 애호가들에게 처음 선보였다. ▶예술경.. 더보기
[정호진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서서] <18> 쓰레기 예술 전통 예술작품의 미적 가치에 반기… 무의미 속에서 의미 찾기 “아니 작가라는 작자가 미술관에 쓰레기를 산더미처럼 갖다 부어 놓질 않았겠어! 아니 쓰레기 같은 작품이 아니고 진짜 쓰레기 말이야.” ◀‘압축된 자전거’(1970년 작, 세자르). 토스카나 피에트라산타에 있는 조각 작업장에서 들어선 노르웨이 조각가 크누트 스텐(87)은 그에게 안부를 묻는 사람들에게 흥분된 목소리로 하소연하듯이 외쳤다. 때는 1980년대 중반. 스텐은 10여 년째 그곳에서 청동과 대리석으로 조각작업을 해오고 있었다. 잠시 런던을 방문했던 그는 현대미술의 동향을 읽기 위해 예술계에서 그 명성과 권위를 자랑하는 테이트 갤러리에 들렀고, 쓰레기 더미가 작품으로 둔갑한 장면을 목격했다고 했다. 스텐은 쓰레기를 작품이라는 이름으로 내놓은.. 더보기
[정호진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 서서] 〈17〉 키치, 거대한 메릴린, 미술 시장 욕망의 대상 상품화… 저속한 키치인가 아트 비즈니스인가 미국 시카고에 26피트(약 8m)에 달하는 압도적인 크기의 메릴린 먼로가 영화 ‘7년 만의 외출’에서 선보였던 그녀만의 상징적인 몸짓으로 치마를 펄럭거리며 들어섰다. 관광객이 몰려들어 치마 아래에 카메라를 들이대고 줄을 서서 그녀의 다리를 어루만지는 모습이 장관(?)이다. 이 조형물은 공식적으로 공개되기 전부터 ‘선정적’이고 ‘성차별적’인 조형물이라는 공격을 받으며 시선을 끌었다. 문제작은 슈워드 존슨 Jr의 ‘포레버 메릴린’이다. 사실 파이어니어 코트에 존슨의 작품이 들어선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광장의 소유주이며 이 전시를 후원하는 젤러 리얼티 그룹은 존슨의 또 다른 작품 ‘갓 블레스 아메리카’를 2008년부터 2010년 초까지 전시했고, .. 더보기
[정호진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서]〈10〉 차용과 표절 “내 작품 무단도용 말라” “예술적 재구성일 뿐” 차용미술 둘러싼 ‘동상이몽’ “지금까지 예술가들의 권익을 위해 힘써 오신 분께서 제 이미지를 출처 표기도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시다니 놀랍습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사진가 모튼 비비는 자신이 찍은 사진 ‘다이버’가 콜라주 작품 ‘풀’에 사용된 것을 보고 로버트 라우센버그에게 정중히 서신을 보냈다. 하지만 라우센버그는 그동안 그가 작품에 삽입하거나 변형해 넣은 자신들의 이미지를 보며 행복감과 자부심을 느낀다는 내용의 감사 서신을 수없이 많이 받아왔기 때문에 비비의 반응에 그 자신이 놀랐다는 의외의 답을 보내왔다. ◇패트릭 카리우의 사진집 ‘예스, 라스타’에 수록된 사진(왼쪽)과 해당 사진을 차용한 리처드 프린스의 ‘카날 존’ 작품. 2년 반을 끈 저작권 .. 더보기
[정호진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서]〈9〉이익과 분배 거짓과 진실 ‘형이상학적 풍경의 대가’ 데 키리코 그는 왜 자신의 작품을 위작이라했나 “아, 이 그림은 제가 그린 게 아닙니다. 이건 얼간이나 속을 법한 가짜군요.” 화가가 본인이 그린 그림을 못 알아보는 일도 있을까. 나라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진품 판정을 내렸지만 정작 작가는 작품 앞에서 머리를 가로 저었다. 문제가 된 작품은 조르조 데 키리코의 ‘이탈리아 광장’ 연작과 동일한 소재와 구성 형식이 있었고, 색이 조금 연해보이는 것을 제외하면 연작의 다른 여느 작품과 다를 바가 없어보였다. 광장은 데 키리코가 1910년쯤부터 즐겨 그린 소재였다. ◇‘멜랑콜리’(조르조 데 키리코, 1912년 작). 데 키리코 이전의 많은 예술가가 그림이나 조각으로 아리아드네의 잠든 모습을 즐겨 묘사했었다. 데.. 더보기
[정호진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서]〈3〉앉을 수 없는 의자 2:아이러니 '앉기'의 실용 뒤에 숨겨진 신분·권력 덩어리째 전달 밀라노 출신의 예술가이자 디자이너인 브루노 무나리(1907∼1998)는 1945년 ‘짧은 방문을 위한 의자’를 선보였다. 3㎝의 호두나무 각목으로 짜여진 이 의자는 너비와 등받이 높이는 여느 의자와 다를 바 없지만 앉는 자리의 깊이가 20㎝로 정상적인 의자의 반도 채 안 되는 데다 45도 아래로 기울어져 있어 의자가 가져야 하는 편하고 아늑한 특징은커녕 제대로 앉기조차 힘들게 디자인됐다. 의자로서의 기능이 의도적으로 제거되어 예술 오브제로 변한 이 ‘짧은 방문을 위한 의자’는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 걸쳐진 가장 아이러니한 예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리트벨트의 ‘적청 팔걸이 의자’(1918년)와 몬드리안의 컴포지션 연작. 그런데 왜 의자인가. 의자는 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