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클리닉 <23> 거리환경, 차별 없는 포용적 공간으로
‘교통 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과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은 공공환경 조성 시 보행 약자를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물이나 시설에 관한 조항이 대부분입니다. 거리환경에 관한 사항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에만 국한되어 있습니다. 모든 보도는 차별 없는 무장애(barrier-free)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연령, 성별, 장애 유형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통합과 조정이 필요합니다.
디자이너 이지영은 보행 장애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안심하고 걸을 수 있는 포용적 거리환경을 제안합니다. 보도상 각종 시설물이 위치한 부분을 별도로 구획함으로써 보행전용공간을 확보했습니다. 평탄하고 곧은 보행로는 일정 폭을 유지하도록 했습니다. 가로수를 포함한 시설물 구역은 녹지로 계획하여 두 영역이 시각적 대비를 이루도록 합니다. 보행전용공간이 녹지와 확연히 구분되면 보행 기준선이 명료해지기 때문에 눈이 나쁜 사람도 안전하게 걸을 수 있습니다. 바닥면은 휠체어 이용을 어렵게 하는 단차와 굴곡을 없애고, 단위 면적이 큰 포장재를 적용하여 평활한 면을 이루도록 합니다. 또 시각장애인이 발 촉감으로 두 영역 간의 경계를 쉽게 인식하도록 상대적으로 표면이 거친 포장재를 적용했습니다(사진2).
거리는 도시의 본원적인 공간입니다. 모두가 만족하는 거리환경이 되도록 거리는 시민 개개인의 신체적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수’에 맞추어진 설계가 아니라 ‘모두’의 다면적인 요구와 욕구에 대응함으로써 차별과 장애가 없는 포용적 도시를 만들어가야 합니다.
권영걸 서울대 디자인학부 교수
[중앙일보] 2010.05.14
'Design Trend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시, 도시디자인 통합 마스터플랜 마련 (0) | 2010.06.21 |
---|---|
공공디자인 클리닉 <24·끝> (0) | 2010.06.17 |
공공디자인 클리닉 <22> (0) | 2010.06.17 |
공공디자인 클리닉 <21> (0) | 2010.06.17 |
'확 바뀐' 서울시내 교통안내 초소 디자인 공개 (0) | 201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