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클리닉 <22> 소화전, 눈에 잘 띄고 사용법 알기 쉽고
공공건축물의 안전설계 기준은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시민들이 위기 상황에 잘 대처하지 못해 발생하는 재난사고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가재난정보센터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재난사고는 교통사고이며 그 다음이 화재입니다. 특히 화재는 대부분 미숙한 초기 대응으로 인해 피해가 커집니다.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은 건물 내부에 소화전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화재 발생 시 피해 범위를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또 ‘옥내 소화전 설비의 화재 안전기준’을 통해 소화전 장치 및 배관 사양, 함(函)의 설치 간격과 높이(수평거리 25m 이내 지면으로부터 높이 0.5m에서 1m 이내) 등 구체적인 기준을 지키도록 하고 있습니다. 표시등의 형식, 색, 위치(부착 면으로부터 15도 이상의 범위에서, 부착 지점으로부터 10m 이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에 대한 기준도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사용법을 전달하는 데는 무심합니다. 강판함에 세로쓰기로 ‘소화전’이라고 쓰여 있을 뿐 구체적인 기능과 작동 방식을 알기 어렵습니다. 함의 외부 또는 내부에 사용법이 부착돼 있지만 그마저 ‘관창’ ‘화점’ 등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없고 상용되지 않는 용어들을 쓰고 있습니다. 분초를 다투는 위급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입니다.
디자이너 김경선은 소화전의 난해한 사용법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도록 개선했습니다.
법률이 색을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시각적 각성 효과가 큰 빨간색 타입과 공공건축물의 벽이 대개 흰색임을 감안해 밝은 회색 타입을 제안합니다. 소화전이라는 글씨도 자연스럽고 보편화된 가로쓰기로 바꾸었습니다. 사용법은 기존의 긴 설명문 대신 문자 수를 최소화했습니다. 4단계의 픽토그램(그림문자)으로 간략히 표현했습니다.
미국 컬럼비아대 로빈 거슨 교수가 9·11 테러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비상시 사람들은 새로 익혀야 하는 정보보다 평소 머릿속에 있는 정보에 의존해 행동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즉 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에 요구되는 행동이 경험을 통해 사전에 깊이 각인돼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표적 방재시설인 소화전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평소 학습될 수 있어야 하며 사람이 긴급 상황에서 보이는 본능적인 행태에 맞춰 사용하기 쉽게 디자인돼야 합니다.
권영걸 서울대 디자인학부 교수
[중앙일보] 2010.04.19
'Design Trend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디자인 클리닉 <24·끝> (0) | 2010.06.17 |
---|---|
공공디자인 클리닉 <23> (0) | 2010.06.17 |
공공디자인 클리닉 <21> (0) | 2010.06.17 |
'확 바뀐' 서울시내 교통안내 초소 디자인 공개 (0) | 2010.06.17 |
포항시, 테라노바 디자인 공모전 선정작 발표 (0) | 2010.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