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승빈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는 14일 서울 남대문로 밀레니엄 서울힐튼호텔에서 개최된 '제2회 대한민국 국토도시디자인 대전' 국제포럼 기조연설에서 21세기 국토·도시디자인의 과제와 방향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임 교수는 "전통적인 토지 이용 유형은 토지의 분절화, 즉 부위별로 고기를 잘라 쓰는 개념과 같다"며 "국토를 살아있는 유기체로 보고 지속가능한 국토도시를 만들기 위한 그린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해 국토도시 디자인이 △조화롭고 균형된 국토경관 특성을 살린 디자인 △참여(프로슈밍)디자인 △지속가능·미래지향적 디자인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우리나라 국토 경관은 구릉지·계곡·하천·취락이 조화롭게 발달된 것이 특징"이라며 "녹지축, 하천축, 도로축을 연계하고 거시적 경관디자인을 고려해 소규모·친환경 개발 및 주민이 스스로 참여하는 프로슈밍디자인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또 "전통요소를 도입, 활용해 전통문화가 배어있는 경관을 창출해야 하며 생태적 건강성뿐 아니라 심미적 아름다움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특히 "순수한 자연경관, 반 인공경관, 반 자연경관, 인공경관 등 경관특성에 맞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단순히 말초적 시각만 자극하는데 그치지 말고 생태적 건강성 등이 융합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1990년대 중반 지방자치단체장의 직선제 선출 이후 각 지자체가 대민홍보사업, 시각적으로 눈에 보이는 환경경관, 디자인사업이 많아졌다"며 "현재 77개 시, 83개 군 중에 19개 시, 12개 군에서 경관계획수립을 완료했으며 8개 시와 2개 군에서 수립 중"이라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하지만 국토도시디자인 정책은 국토도시경쟁력 향상, 디자인의 대중화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전시행정, 졸속행정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전문가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해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
기사입력 : 2010-10-14 18:30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Design Trend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회 국토도시디자인 대전] 주제발표/리처드 플런즈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0) | 2010.10.15 |
---|---|
[제2회 국토도시디자인 대전] 주제발표/김영대 대구광역시 도시디자인총괄본부장 (0) | 2010.10.15 |
서울시, 영등포구 도림로 도로확장사업 가로디자인안 확정 (0) | 2010.10.15 |
이명희의 "디자인 오딧세이" ⑥ (0) | 2010.10.15 |
[제2회 국토도시디자인 대전] 주제발표/빈이 류 中퉁지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0) | 201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