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 숲속 컨테이너 도서관 개관
공공미술 영역에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작가 배영환(42)씨와 유종필 관악구청장이 의기투합해 ‘컨테이너 도서관’을 13일 개관했다.
컨테이너 도서관은 비싸지 않고 위화감도 주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도서관으로, 낙성대공원에 자리를 잡아 자연과 어우러진 독서 활동을 지원한다. 배 작가의 컨테이너 도서관 프로젝트는 경기 파주시 등에 많이 설치됐지만,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이를 도입한 것은 관악구가 처음이다. 핫핑크의 컨테이너 도서관은 우거진 녹음 속에서 동화의 세계에 온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서관이지만, 컨테이너 도서관엔 단점도 있었다. 밖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추운 겨울과 푹푹 찌는 여름철에는 내부가 혹독한 기후대로 바뀐다는 점은 무시할 수 없다. 배 작가와 관악구는 이번에 이런 문제를 다소 해결했다. 우선 철판 벽면 일부를 강화 유리로 바꿔 밖에서 안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또 안에서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냉난방 시설을 설치해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책만 읽는 게 아니라 주민들이 놀러 왔다가 쉬어 갈 수 있는 도심 속 휴식처 역할도 한다. 게다가 장소가 낙성대공원이다 보니 자연과 함께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유 구청장은 개관을 맞아 “주민들이 즐겨 찾는 낙성대공원은 고려시대 명장 강감찬 장군이 태어난 곳으로 역사적 의미가 있는 지역”이라며 “역사와 관련된 책이나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수필, 여행 관련 도서 등 3000여권의 도서를 비치하겠다.”고 말했다.
두 개의 컨테이너 중 작은 컨테이너 도서관엔 놀이형 도서를 다량 비치해 어린이도 부모와 함께 공원에 나들이 왔다가 책을 읽고 놀 수도 있는 공간으로 구성됐다. 전체 면적은 약 50㎡, 열람실은 10석으로 규모는 작지만 푸른 잔디와 어울리는 진홍빛의 도서관이 하나의 미술 작품을 떠올리게 한다. 도서관 밖으로 나와 잔디에 누워서 읽을 수도 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1-06-14 15면 | 서울신문
'Design Trend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구, 그래픽디자인을 만나다. 바이헤이데이 (0) | 2011.06.14 |
---|---|
제6회 '서울우수공공디자인' 인증제품 122점 선정·발표 (0) | 2011.06.14 |
부산시, 간판이 아름다운 도시 사업 추진 (0) | 2011.06.09 |
모던하고 미니멀 디자인의 '마뇨 테이블', 'P누볼라 체어' (0) | 2011.06.09 |
청주 안덕벌, 녹색공예디자인 입는다 (0) | 201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