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sign Trend/환경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① 미래를 만드는 도시계획

佛 ‘그랑파리’ 탄탄한 밑그림… 10~20년 걸쳐 ‘체질개선’

“정부안은 막대한 비용이 들어갈뿐더러, 4가지 계획이 모두 맞아떨어져야만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20년 동안 진행할 계획인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있습니다.”(베르나크 세키)

“현재 파리 외곽을 돌고 있는 A8 고속도로를 고가도로로 전환해 비용을 최소화하고 그 위에 순환 고속철도를 세우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크리스티앙 드 포잠바크)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지난 9월 중순, 파리 건축박물관 대회의실에 모인 80여명의 건축가와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지난해 발표된 ‘르 그랑파리’ 프로젝트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그랑파리 국제 아틀리에(AIGP) 행사였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그랑파리에 참여한 10개팀과 정부 관계자들을 한데 묶은 AIGP를 공식 정부기구로 구성, 회의를 정례화시켰다. 매월 한 차례 이상 회의가 열린다. 르 그랑파리 디렉터 포잠바크 사무실의 도시디자인팀장 송현정씨는 “공통의 주제를 놓고 10개팀이 순차적으로 발표한 뒤 난상토론이 이어진다.”면서 “9월 회의는 지난 4월부터 6개월간 진행된 교통시스템 개혁 회의의 결과물을 도출하는 모임이었다.”고 설명했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교통시스템은 인구 1000만명이 넘는 유럽 제1의 지역 ‘일 드 프랑스’(파리를 포함한 반경 100㎞의 지역, 한국의 수도권에 해당)가 안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점이다. 오랜 시간 개발과 확장이 제한돼 온 파리 주변에는 업무지구 라데팡스를 비롯해 생드니, 부흐제, 샤크레, 오를리, 빌레주, 마흐나발레 등 7개의 대규모 신도시가 조성돼 있다. 그러나 이들 도시를 서로 연결하는 교통시스템이 없어 신도시는 고립됐고, 사람들은 입주를 꺼렸다. 실제로 그랑파리 10개팀 대부분이 같은 문제를 지적하며 시스템 개편안을 내놓았다.

그랑파리 담당 장관인 크리스티앙 블롱은 10개팀의 아이디어를 모아 올봄 ‘8자 계획’으로 불리는 4단계 교통확충 시스템을 제안했다. 외곽 순환 철도와 각 도시를 잇는 고속도로, 테제베(TGV) 역사 신규 건설 등을 포함한 초대형 프로젝트였다. 블롱이 지난 7월 사임했지만, 1년 가까이 정부 검토를 거친 이 안은 지금도 계속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사전타당성 검토와 충분한 이유가 있는 정책이기 때문에 당초 일정에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블롱의 8자 계획은 이달부터 3개월간 공청회가 진행된다. 공청회 횟수는 총 70회. 새로 교통시스템이 확충되는 지역은 물론이고 주변지역 주민들에게 이르기까지 이미 초청장이 모두 발송된 상태다.

특히 공청회에서는 블롱의 8자 계획뿐 아니라, 중소 지방정부들이 각자 내놓은 교통 개선안과 AIGP를 통해 제시된 건축가들의 개별안까지 모두 소개된다. 전문가들이 최종안을 도출한 뒤 시민들에게 제시하는 한국적 방식과는 큰 차이가 있다. 도시전문 이코노미스트 디디에 마르탱은 “도시계획은 기본적으로 그 안에 사는 시민들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시민의 이해가 없다면 진행될 수 없다는 것이 대전제”라며 “충분한 공청회를 열어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고, 불이익을 받는 사람에 대한 응분의 보상까지 제시해야 10년 이상 걸리는 도시계획이 제대로 나아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렇게 만들어진 도시계획은 당사자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정권이 교체되거나 정책이 바뀌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AIGP는 교통시스템에 이어 친환경, 녹지계획, 지역의 개별성, 열악지구 개선, 지역별 경제 균형, 상하수도 등을 주제로 2040년 파리의 모습을 만들어가게 된다.

그랑파리의 비전이 제시된 지 1년이 안 됐지만 파리 주변 일 드 프랑스 지역에서는 이미 변신이 시작됐다. 파리를 둘러싼 중소도시들이 그랑파리에서 나온 비전에 동조해 사전 타당성 조사를 각 건축가들에게 의뢰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에서는 중앙정부가 할 수 있는 교통시스템 등 대규모 사업을 제외하고 시내 건축이나 민자 유치사업 등을 지방정부가 맡고 있다. 현재 파리 외곽의 대표적인 슬럼지역인 부흐제는 포잠바크가 맡아 대규모 전시장과 우주항공박물관을 중심으로 도시의 체질을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마흐나발레는 이브리옹이, 생드니 지역은 AREP와 장 누벨이 도시계획을 맡았다.

물론 이 같은 사전 타당성 조사 및 도시설계의 결과가 곧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도미니크 페로 사무실 관계자는 “도시계획에는 사전 준비 단계만 최소한 1~2년, 실제로 완성되기까지는 10~20년의 시간이 걸린다.”면서 “지금 파리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연구들은 탄탄한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포잠바크가 맡아 진행한 파리 남동부의 재개발 사업의 경우 크지 않은 규모에도 불구하고 1995년에 첫 설계가 시작됐지만, 내년에나 목표를 이룰 예정이다. 송현정씨는 “도시계획가가 밑그림을 그리고 개별 건물은 각 건물주가 그 가이드라인에 맞춰 설계하고 건설하는 구조”라며 “도시계획가가 처음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완성된 도시는 하나의 통일성을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파리 박건형 순회특파원 kitsch@seoul.co.kr
서울신문 | 2010-10-04  3면